캠페인 소식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참여하기

최신소식 해양
3 mins

참치캔 안에 든 건 참치뿐일까요?

글: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세계적인 참치 소비국 중 하나인 우리나라. 한국인의 참치사랑은 실로 각별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즐겨먹는 참치캔 안에 든 건 참치뿐일까요?

참치김치찌개, 참치볶음밥, 참치두부조림, 참치샐러드... 쉽게 만들 수 있고 맛도 좋아 우리 밥상에 자주 오르는 음식들입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참치는 참으로 신통 방통한 식재료죠.

그런데 우리에게 이토록 친숙한 먹거리인 참치가 근래 조금 다른 이유로 전세계의 주목을 끌고 있는데요. 바로 무차별적 남획, 혼획으로 인한 해양생태계 파괴와, 배 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참혹한 인권유린의 실태 등이 그 이유입니다.

여러분, 그린피스의 이번 시리즈글 제목이 “참치뿐일까요?”라는 것, 알고 계셨나요? 이 제목은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참치캔을 딸 때, 그 속에 보이는 것은 저 먼 바다에서 어획되어 깨끗한 공정을 거친 참치살뿐입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 어부들의 눈물과, 비어가고 있는 바다, 그리고 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참치종들

어부들 사이에서 참치는 ‘바다의 무법자’, 혹은 ‘바다의 황소’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일부 어종의 경우, 길이만 해도 성인 남성의 키를 훌쩍 넘는 2m 이상에, 몸 무게는 소의 두 배에 달하고, 사냥을 할 때 헤엄치는 속도는 류현진 선수의 투구나 초원을 질주하는 치타 보다 빠른, 무려 ‘시속 160km’라고 합니다.

우리가 참치로 알고 있는 다랑어는 크게 7가지 어종으로 분류되는데요. 미국에서 즐겨 먹는 날개다랑어, 유럽인들의 사랑을 받는 황다랑어, 국내에서 참치캔으로 쉽게 접하는 가다랑어, 최고급 횟감으로 인기가 좋은 참다랑어들(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태평양참다랑어), 그리고 마지막으로, 횟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눈다랑어가 있습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에서 발표한 멸종 위기 동물 리스트, 일명 “레드 리스트”에는 이 중, 대서양참다랑어와 남방참다랑어가 각각 ‘멸종 위기종’과 ‘심각한 위기종’으로, 그리고 태평양참다랑어와 눈다랑어가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 되어 있습니다.

Burmese fishermen in temporary shelter in Ambon port, Indonesia. Hundreds of trafficked workers are waiting to be sent back home, with many facing an uncertain future.The forced labour and trafficking survivors interviewed by Greenpeace Southeast Asia detailed beatings and food deprivation for anyone who tried to escape. The tuna fishermen on their vessels were forced to work 20-22 hour days for little to no pay, often deprived of basic necessities like showers.

참치의 멸종은 단순히 ‘참치를 먹지 못하게 된다’에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학자들이 꾸준히 경고해 왔듯, 최상위 포식자인 참치가 사라질 경우 먹이사슬의 균형이 깨지면서 해양생태계의 파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참치를 잡는 파괴적인 방법들

-혼획의 주범 선망어선과 죽음의 덫 FAD

참치의 멸종에 큰 기여를 하는 것이 바로 ‘죽음의 덫’이라 불리는 집어장치(Fish Aggregating Device; FAD)입니다. 본능적으로 부유하는 물체를 안식처로 여기고 이끌리는 물고기의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집어장치는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는 물고기떼를 한 곳에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물을 가득 채울 만큼의 물고기가 모여들면 선망어선은 길이가 2km, 깊이가 200m에 달하는 거대한 그물을 설치합니다. 이는 축구장 60개 정도를 합친 면적에 대관람차 3개의 높이에 달합니다.

이런 그물은 아직 어린 새끼 가다랑어와 개체수가 급감하는 눈다랑어, 황다랑어의 치어는 물론이고, 멸종 위기에 처한 상어, 가오리, 고래, 바다거북, 돌고래, 심지어는 바다새까지 가리지 않고, 주변의 ‘작은 생태계’ 전체를 몽땅 잡아 올립니다.이처럼 마구잡이로 큰 그물을 치고, 걸리는 데로 잡는 것을 혼획(bycatch)이라 일컫습니다.

“참치통조림 안에는 참치뿐만 아니라 ‘니모를 찾아서’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바다 생물이 함께 담겨있다.”

-찰스 클로버 ‘텅빈 바다’ 中에서-

-바다 위 스쿠루지, 연승어선

참치잡이 조업어선에는 선망어선 외에도 ‘연승어선’이라 불리는 배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된 선망어선과 집어장치가 혼획의 주범이라면 연승어선은 과도한 어획이 주 특기입니다. 한 가닥의 긴 줄에 낚싯바늘이 달린 가짓줄을 여러 개 매달고서 물고기가 살아있는 상태로 낚을 수 있는 연승어선은, 줄의 길이가 길게는 150km에 달하며 3000여 개의 낚시바늘이 달려있습니다. [연승어선에 대한 인포그래픽 보기]

거대 글로벌 참치기업의 어두운 이면

거대 참치기업의 문제는 남획과 혼획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만이 아닙니다. 이들은 시장을 장악함으로써 가난한 섬나라의 생계를 위협하고, 또 선원의 인권과 안전을 무시한 과도한 조업활동을 벌여 국제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를 스토리펀딩을 통해 확인하세요.

이전글 보기

1편: 짙푸른 바다 위, 사라진 인권
2편: 바다에서 일어나는 공멸의 레이스
3편: 수산업 강국 한국, 우리는 괜찮은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