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 소식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참여하기

최신소식 플라스틱
7분

2021 집콕조사를 통해 살펴본 플라스틱 팬데믹

글: 정다운 그린피스 데이터액티비스트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플라스틱 사용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2040년 13억 톤이 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전 세계를 뒤덮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 첫걸음으로, 다가올 재난을 막기 위해 시민 841가구가 기업의 플라스틱 생산량 공개를 위해 함께 했습니다.

플라스틱의 등장은 편리함과 동시에 풍요로운 일상 생활을 제공하며 현대인의 삶에 빠르게 침투했고 동시에 생산성을 필두로 산업계에 크게 공헌했습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소각이나 매립 과정에서 환경호르몬 발생, 맹독성 폐기물의 불완전연소 등으로 토양 및 대기오염을 발생시켜 환경오염의 심각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1950년 150만 톤이던 플라스틱 생산량은 2020년 3억6천7백만 톤으로 70년 사이 약 240배 이상 증가했습니다.1 또 최근 영국 리즈 대학의 코스타스 벨리스 박사가 사이언스지에 게재한 20년 후의 플라스틱 폐기물량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플라스틱 생산과 증가 추세, 재사용 및 재활용량의 변화가 없는 ‘기존의 사업 모델(business as usual)’에 근거해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2040년까지 약 13억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전 세계를 뒤덮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2

계속 늘어나는 플라스틱 폐기물, 현주소는?

그린피스 활동가가 플라스틱 쓰레기 산 앞에서 "플라스틱 제로 코리아" 배너를 들고 있다.

이처럼 유례없이 플라스틱의 생산과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들은 바다에 유입되어 수많은 해양 생물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99% 이상 화석 연료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은 전체 수명 주기(가스와 석유 추출, 플라스틱 정제와 생산, 소각 및 매립, 재활용 단계)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토양과 대기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3 이러한 과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는 8억5천만톤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500메가와트 용량 화력발전소 198개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맞먹는 양입니다.4 이처럼 플라스틱으로 인한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전 인류가 함께 풀어야 할 21세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플라스틱 위기는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을까요? 유럽플라스틱·고무 생산자 협회인 유로맵(Euromap)이 발표한 자료5에 따르면, 조사대상국 63개국 중 한국의 1인당 연간 플라스틱 포장재 소비량은 67.4kg(2020년 추정치)로 세계 2위를 차지해 다양한 규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플라스틱이 생산 및 유통, 소비되는 전 과정에서 어떠한 영역에서 얼마만큼의 플라스틱이 소비되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국내 기업들의 일회용 플라스틱 생산 관련 정보들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병을 고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진단서가 없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무엇을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 알 수 없는 셈입니다.

오늘날 필수 불가결한 과제가 된 탈(脫)플라스틱은 산업계가 자사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데서 출발해야 합니다. 따라서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안전한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2021년 8월 전국 841가구의 시민들과 함께 가정 내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소비량 실태를 조사했습니다.6

코로나 19와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 증가, 근본 원인은 어디에 있나?

841가구가 일주일동안 집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조사했다.

지난 11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인해 84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추가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 이는 코로나19가 플라스틱 소비를 보다 부추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라 식품포장재 관련 플라스틱 쓰레기가 증가했습니다. 그린피스 조사 결과 총 플라스틱 배출량 77,288개 가운데 식품 포장재로 쓰인 일회용 플라스틱은 60,331개로 전체의 78.1%를 차지해 2020년도 조사8에 비해 6.6%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러한 소비에는 음료류·과자류 등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는데 식품포장재 관련 플라스틱 쓰레기 중 음료류는 32.5%(25,126개), 과자류 12.9%(9,977개)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부문별 소비량이 가장 높았던 롯데칠성음료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 롯데제과의 경우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원인은 집에서 끼니와 후식을 해결하고, 재택과 원격수업이 증가한 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코로나 19에 따른 비대면 소비의 증가는 배달·가정간편식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린피스 조사에서 발생한 배달용기는 5,985개로 식품포장재 중 7.7%를 차지했습니다. 일주일간 실시된 조사의 특성상 플라스틱 폐기물이 과소 집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양의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1년 8월 온라인쇼핑 동향 자료(집콕조사 조사기간과 동일한 기간)’에 따르면 온라인 주문 배달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2조4,192억 원으로 작년 대비 44% 급증하여 역대 최대치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녹색연합과 이수진 의원이 발표한 (사)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의 조사 결과9에서는 2020년 배달용기 및 테이크아웃 용기 생산량은 11만 957톤으로 집계돼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19.7% 증가했으며 평균무게인 52g으로 나누면 21억개가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사적 모임이 제한되고 재택근무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간편식 수요는 보다 증가했습니다. 그린피스 조사 결과에서도 가정간편식 제품이 식품포장재 중 7.6%(5,888개)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국내 간편식 시장 규모는 지난해 4조 3천억 원에서 올해 5조 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되면서 플라스틱 소비 감축을 위한 실질적 대안의 필요합니다.

이처럼 코로나 19 장기화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우리의 삶과 플라스틱 지형도 또한 재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플라스틱 팬데믹의 본질적 원인은 개인이나 코로나 19가 아닌, 이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기업에 있습니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팀이 2021년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의 원인으로 ‘사업체의 과대포장 및 과다 사용에 있다’는 응답이 73%로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넘쳐나는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기업이 그 사용량을 줄이는 등 궁극적인 감축 노력을 기울여야만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플라스틱 사용량 투명성 강화와 함께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자발적인 노력과 제도적 방안이 강구돼야 합니다.

1인 가구, 왜 플라스틱에 취약한가?

표1. 그린피스 집콕조사 구성원 및 품목별 소비량

2021년 그린피스가 실시한 집콕조사에서는 전국 841가구가 참여했는데 이를 가구 구성원 수로 환산하면 2,671명입니다. 한편, 가구 수에 따른 1인 가구의 1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량은 52.75개, 가정간편식 플라스틱 배출량 4.56개, 배달용기 플라스틱 배출량 4.49개로 모두 평균을 상회하며 다른 가구 유형에 비해 월등히 높았습니다. 아울러 다양한 조사에서도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량 또한 늘고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특히 1인 가구가 배달음식을 선호하고, 각종 간편식의 소비를 통해 플라스틱 및 비닐류 쓰레기를 많이 배출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전국 1인 가구는 9,367,439가구로 전체 23,383,689가구의 40.1%를 차지하였으며 1인 가구 증가 추세는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기업들은 간편함을 내세운 다양한 가정간편식, 소포장 식품 등을 제공하고 있어 식품포장재 플라스틱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1인 가구가 플라스틱 오염을 가속화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이는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들은 지속적인 경제 활동과 가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간편함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혼밥’, ‘혼술’ 등 ‘나홀로 문화’가 확산하면서 실외 활동보다는 집콕 문화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집에서 향유합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소량·낱개 포장된 간편식품 및 배달식품을 소비할 수 밖에 없는 일회용 플라스틱에 취약한 구조를 강요당하게 됩니다.

1인 가구 특성 고려한 플라스틱 감축 방안과 정책 마련돼야

그린피스 활동가들이 식품제조사 앞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을 요구하는 비폭력 직접행동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인 가구의 소비 패턴을 고려한 다양한 정책들이 수반되어야 하고 구체적으로 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다회 용기 이용 시 적절한 보상을 제공해야 합니다. 서울디지털재단의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일회용 플라스틱 배출 실태 분석’ 조사10에 따르면 배달 서비스 업체인 배달의민족의 ‘일회용 수저 안받기’에 따른 할인프로모션 여부에 따라 참여 여부가 10%p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시민들의 환경보호에 대한 보상체계가 참여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인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1인 가구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모는 것이 아니라, 배달용기 규격화를 통한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비플라스틱 포장재 선택권 제공 등 기업 스스로 플라스틱 제로 확산을 유도하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2021년 그린피스 집콕조사는 플라스틱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이 아닌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활동입니다. 특히 국내 플라스틱 관련 자료가 부재한 상황에 이를 밝혀내기 위해 시민이 그 중심에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함께 냈습니다. 이제는 정부와 기업이 시민들의 목소리에 대답해야 할 때이다. 정부와 기업이 일회용 플라스틱 문제에 대해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그린피스와 함께해 주세요.

플라스틱 캠페인 함께하기

출처

1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82732/global-production-of-plastics-since-1950/
2 Lau, W. W., Shiran, Y., Bailey, R. M., Cook, E., Stuchtey, M. R., Koskella, J., ... & Palardy, J. E. (2020). Evaluating scenarios toward zero plastic pollution. Science, 369(6510), 1455-1461
3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Environmental Integrity Project, FracTracker Alliance, Global Alliance for Incinerator Alternatives, 5Gyres, and #breakfreefromplastic. Plastic & Climate The Hidden Costs of a Plastic Planet (2019 May). Retrieved from https://www.ciel.org/reports/plastichealth-the-hidden-costs-of-a-plastic-planet-may-2019/
4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Environmental Integrity Project, FracTracker Alliance, Global Alliance for Incinerator Alternatives, 5Gyres, and #breakfreefromplastic. Plastic & Climate. The Hidden Costs of a Plastic Planet (2019 May). Retrieved from https://www.ciel.org/reports/plastichealth-the-hidden-costs-of-a-plastic-planet-may-2019/
5 Plastics Res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63 Countries Worldwide
6 https://www.greenpeace.org/korea/report/20269/report-2021-house-plastic-trash-survey/
7 Peng, Y., Wu, P., Schartup, A. T., & Zhang, Y. (2021). Plastic waste release caused by COVID-19 and its fate in the global ocea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8(47).
8 그린피스 [우리집플라스틱어디서왔니, 플라스틱 배출 기업] 조사보고서
9 https://www.greenkorea.org/activity/living-environment/zerowaste/90137/
10 https://smart.seoul.go.kr/board/41/2623/board_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