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미션

행동방식

보고서

사람들

앰버서더

인재채용

연락처

자주 하는 질문

재정보고서

리포트 기후
40분

[보고서] 리뷰페이퍼: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발생의 우발성 및 장기화, 대형화 추세

글: 그린피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산불과 기후변화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41편의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했고, 한국의 기후 추세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기후변화가 산불의 대형화, 장기화를 심화시키고 있고, 한국 또한 산불 취약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보고서 다운받기 : 리뷰페이퍼: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발생의 우발성 및 장기화, 대형화 추세

  1. 서론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4. 산불과 기후변화 간 선행연구 분석 결과
    1. 시간적 변화
    2. 공간적 변화
    3. 규모적 변화
    4. 한국의 산불 추세
  5.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한국 산불 관리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안

    주요 내용

    체계적 고찰
    - 캘리포니아 내 대형산불 빈도가 증가, 공간적으로 확산되고, 구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통해 산불은 더 이상 국지적 현상이 아닌 복합적, 전 지구적 리스크로 재정의 해야함
    - 대형산불은 단일 요인이 아닌 외부 기후요인과 내부 피드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므로, 기후변화로 인해 대형산불의 발생, 확산을 구조적으로 심화시키고 있음
    - 산불이 빈번한 캘리포니아 중남부에서 산불 저위험지대인 북부까지 발생하는것을 통해 산불에 취약한 지역의 범위가 확장되는 것을 확인
    - 소중규모 산불은 단일 요인, 대형산불은 다중 요인, 초대형산불은 전지구적 기후 시스템과의 연계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에 초대형 산불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지역(Local)/광역(Regional)관점이 필요

    한국 추세 분석
    - 건조일수 급증, 겨울 누적 강수량 감소, 상대습도 하락을 통해 겨울의 건조심화로 산불 위험도 상승 추세 확인
    - NASA MODIS 자료를 통해 화점수, 평균방출복사력 증가를 통해 한국 산불의 발생 빈도, 규모가 증가 추세임을 확인

    시사점
    - 산불은 더 이상 국지적 재난이 아니며, 기후변화로 인한 복합 기후재난으로 재정의가 필요
    - 산불 대응은 단기적 진화정책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으며, 기후변화 완화 전략과 통합된 기후재난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

후원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