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미션

행동방식

보고서

사람들

앰버서더

인재채용

연락처

자주 하는 질문

재정보고서

리포트 기후
20분

[보고서] 전력선 발화와 산불 대응

기후변화 시대 캘리포니아 전력회사 규제 변화

글: 그린피스
2019년 고성 산불과 2023년 강릉 산불은 모두 전선 발화에서 비롯된 대형 산불이었고, 막대한 피해를 남겼습니다. 이어진 한전과의 장기 소송전은 이재민들의 일상 회복을 지연시켰을 뿐 아니라 공동체 분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린피스는 전선 발화의 위험성에 따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미국 샌디에이고 대학교 알렉산더 거슈노프 박사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보고서 다운받기

전력선 발화와 산불 대응: 기후변화 시대 캘리포니아 전력회사사와 규제 변화 (영어 원문 / 국문 요약본)

주요 내용

기후변화와 대형화되는 산불

  • 캘리포니아는 지중해성 기후 특성으로 인해 건기와 강풍이 겹치면서 산불에 취약한 지역임
  • 기후변화는 산불 위험을 크게 높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선 발화 위험성은 커지고 있음
  • 2018년 역사상 최악의 대형 산불인 캠프 산불(Camp Fire)과 2025년 1월 발생한 LA 대형 산불도 전선 발화가 원인으로 지목되었음

전선 발화와 규제 변화

  • 전통적으로 안정적 전력 공급과 안전 규격 준수 중심의 규제를 시행
  • 그러나 이는 사후 대응적이고 지역·기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냄
  • 2007년 샌디에이고 ‘위치 산불’ 이후 대규모 소송과 피해를 계기로 변화가 촉발됨
  • 이후 기존 규제 한계 벗어나 공공안전 전력 차단(PSPS) 제도 최초 도입함

공공안전 전력 차단 제도 (PSPS)

  • 강풍 시 전력 공급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시스템
  • 제도 시행 후 SDG&E에서는 전력선 발화로 인한 대형 산불이 발생하지 않음
  • 비용-편익 분석 결과, 전력 공급 1% 차단 시 자본 손실 0.2% 예방 효과 확인

제도의 진화

  • 초기에는 주민 반발이 있었으나 교육·포럼·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신뢰 구축
  • 캘리포니아 전력회사 전체 의무화 시행 및 주민 통지·취약계층 보호·사회경제적 분석 의무화 조항 반영
  • 최근에는 기후변화 대응 강화를 위한 기후복원력 센터 설립 등 학계·지역사회 협력 확대

결론 및 시사점

  • 캘리포니아의 사례는 단순한 기술 개선이 아닌 산불 대응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줌
  • 공공안전 전력 차단 제도는 전력회사를 전력 공급자에서 기후위기 대응 핵심 주체로 변화시킴
  • 그러나 2025년 LA 대형 산불은 여전히 제도의 한계를 드러내며, 기후변화 속 지속적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
  • 한국 역시 반복되는 대형 산불 대응을 위해 전력 인프라 안전 규제를 넘어 선제적 제도 도입과 지역사회 회복력 강화가 시급함
후원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