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보고서 연대기 - 불타는 지구, 불타오르는 그래프
기후변화의 위험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기후변화는 누구에게, 또 언제까지 위험한 것일까요? 그리고 그 위험과 영향은 언제 버틸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날까요?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과학자들은 기온 상승에 따라 전 지구적 위험과 영향이 어떻게 증가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개발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전반적 평가를 하나의 색상코드로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그래프로, 2001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의 3차 평가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됐습니다. ‘우려 요인’(Reasons For Concern)이라는 이름의 이 그래프는 곧 ‘타오르는 불씨’ (The Burning Embers)로 더 잘 알려지게 됩니다. 그래프에서 과학자들은 서로 다른 기후 관련 위험을 5개의 그래프, 곧 5개의 ‘우려요인’(RFC)으로 나누는데, 각각 총체적 기후 위험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측정했습니다.

RFC1 | 위협받는 고유 시스템 | 산호초, 북극 및 북극 원주민, 산악 빙하, 생물 다양성 핫스팟과 같은 생태계와 인간에 대한 위험. |
---|---|---|
RFC2 | 극단적 기상현상 | 열파(폭염), 폭우, 가뭄과 그로 인한 산불, 해안 홍수와 같은 극심한 기상 현상이 인체의 건강, 생계, 자산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RFC3 | 영향의 분포 | 물리적 기후변화의 위험과 노출, 취약성의 분포가 불균등한 탓에 특정 그룹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집합적 위험 / 영향. 개발의 모든 단계에 있는 국가의 소외된 계층과 집단을 비롯, 취약한 사회와 사회생태시스템 등에 미치는 영향. |
RFC4 | 전 지구적 총영향 | 기후변화가 전지구적 사회생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전지구적 단일지표로 집계되는 금전적 피해, 영향을 받는 생명, 종 손실, 전세계적 규모의 생태계 파괴 등. |
RFC5 | 대규모 단일 현상 |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일어난 시스템의 상대적으로 크고 갑작스럽고 때로는 돌이킬 수 없는 변화. 예컨대 빙상 붕괴, 열염(熱鹽)순환의 둔화. 일명 ‘티핑 포인트’ 또는 ‘임계값’. |
그래프의 시작점과 현재 진행 상황
RFC 도구를 처음 사용한 2001년, IPCC는 2°C 상승의 위험이 대체로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위협받는 고유시스템’ 항목을 제외한 다른 수치는 아직 높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8년 후인 2009년도 보고서에서는 이미 많은 불씨가 타오르고 있었습니다. 현상을 깊이 이해할수록, 2°C는 더 이상 어떤 방법으로도 안전하다고 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다음 회차인 2014년도 보고서의 그래프는 심화하는 우려 요인을 더 잘 전달하기 위해 새롭게 보라색을 도입했습니다. 매번 보고서를 낼 때마다 IPCC는 위험과 영향을 평가하여 이전보다 경고의 수준을 높이고 있습니다.
좀머스 외 연구진(2020)은 3차 평가보고서(2001)부터 1.5°C 특별보고서 SR15(2018)까지 그래프들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이를 보여줍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라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각 그래프의 초기 온도에서 위험이 노란색(중간)에서 빨간색(높음)으로 변하는 시점을 주목하면 그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3차 평가보고서(2001) 이후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다섯 번째 그래프(RFC5)에서 나타납니다. 2001년까지만 해도 IPCC는 대규모 단일 현상(빙상 붕괴 등)과 관련한 위험이 커지는 온도를 약 5.5°C로 평가했습니다. 위험 평가는 2018년(1. 5°C 특별보고서)에 이르러 대폭 변했습니다. 기후과학의 새로운 발견에 따라 이제 2°C 미만에서도 이미 위험이 커지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를 잘 설명해주는 새로운 증거는 지구온난화의 평균 온도 상승이 2°C를 넘지 않았던 지난 간빙기에 일어난 빙상 손실입니다. 관측 결과에 따르면 현재 서남극 빙상은 이미 해양 빙상 불안정성의 초기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관측되었습니다. 대서양 자오선 역전순환의 둔화, 엘니뇨 남방진동과 전 지구적 탄소 순환에서 남극해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 또한 낮은 온도에서 위험 수준이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근거입니다.
IPCC 6차 평가보고서의 평가 결과
제6차 평가보고서는 이전 보고서(AR5 및 SR15)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험이 크게 높아짐. ‘우려 요인’ 5개 항목 모두 지구온난화의 낮은 단계에서도 위험도가 매우 높습니다 .
- ‘높음’에서 ‘매우 높음’으로의 이행이 우려 요인 5개 항목 모두에서 나타남. AR5에서는 2개였습니다.
- 실현 가능 범위에 더 높은 신뢰도가 부여되었습니다.
나아가 1.5°C 온난화와 관련해 AR6(워킹그룹 II)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지구 온난화를 1.5°C로 억제하면 RFC3, RFC4 및 RFC5의 위험 수준(중간 신뢰도)은 보통으로 유지되지만, 1.5°C에서 RFC2의 위험도는 높은 위험으로, RFC1은 매우 높은 위험(높은 신뢰도)으로 바뀐다.”
다시 말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 전반적인 위험과 영향은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 1.5°C조차 안전하지 않습니다. 극한적인 날씨나 위협받는 고유생태계와 관련한 위험은 높아질 것이고, 이미 매우 높은 단계로 바뀌고 있습니다.

더 높은 위험을 경고하는 IPCC 보고서
IPCC는 색상 그래프를 특정한 위험과 특정 이슈, 시스템 평가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예컨대 난대성 산호의 위기는 지구온난화의 폭이 고작 1.1 ° C인 현재 이미 고위험 수준이었습니다.
저명한 IPCC 과학자는 트위터에 이 상황을 이렇게 요약했습니다. "산호는 거의 망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호초의 안전한 피난처는 지구온난화가 1.5 °C에 이르면 거의 사라지게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남아 있는 해양생물을 보호하려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온난화 수준을 2°C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생태계의 다른 생명을 위해서도 이것은 대단한 목표가 아닙니다.

이 모든 것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타오르고 있는 것이 더 이상 RFC 불씨만은 아닙니다. 우리의 미래가 불타고 있습니다. 정부와 모든 분야의 산업계, 투자자 및 도시들은 온난화 수준을 1.5 ° C로 억제하는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과학자들이 RFC를 점점 더 어두운 색으로 칠함으로써 전하려는 메시지를 진정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우리는 인류와 생태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넘고 있습니다.
산호가 사라지면, 우리가 잃는 것은 산호만이 아닙니다. 산호초는 전체 해양생물 중 4 분의 1 이상이 살아가는 서식처이며, 전 세계 해안지역 공동체에 식량과 소득을 제공하고 해안선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함께 생각하고 이 고통과 분노를 행동으로 바꿔야 합니다. 이 보고서에에 공감한다면, 블로그를 공유하고 그린피스와 함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