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미션

행동방식

보고서

사람들

앰버서더

인재채용

연락처

자주 하는 질문

재정보고서

리포트 기후
40분

[보고서] 한국과 미국 캘리포니아 기후재난 정책 비교 연구: 산불 대응을 중심으로

글: 그린피스
기후재난의 대형화와 장기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재난대응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대형산불 대응과 관리 경험이 축적된 미국 연방정부 및 캘리포니아주의 정책과 거버넌스 구조를, 한국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체계와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산불 대응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보고서 다운받기 : 한국과 미국 캘리포니아 기후재난 정책 비교 연구: 산불 대응을 중심으로 / 요약본

  1. 서론
  2. 주요 개념과 분석틀
  3. 미국의 재난 대응과 관리
    1. 미국 기후재난 대응 정책 수립 배경
    2. 기후재난 대응 법·제도적 기반: 산불 대응을 중심으로
      1. 주요 법률
      2. 주요 정책
      3. 대응 조직 체계
    3. 거버넌스 구조와 정책적 실행 방식
    4. 주민당사자와 지역 공동체 참여 사례
  4. 한국의 재난 대응과 관리
    1. 한국 기후재난 대응 정책 수립 배경
    2. 기후재난 대응 법·제도적 기반: 산불 대응을 중심으로
      1. 주요 법률
      2. 주요 정책
      3. 대응 조직 체계
    3. 거버넌스 구조와 정책적 실행 방식
    4. 주민당사자와 지역 공동체 참여 사례
  5. 한·미 비교 분석
  6. 결론

주요내용

  1. 미국은 산불을 기후재난으로 인식한 시기와 정책 수립 및 대응 속도에서 한국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2. 한국과 미국 산불 대응 거버넌스의 구조적 차이가 존재한다.
    • 미국은 일원화된 지휘체계가 존재하지만, 한국은 국가재난관리 표준 편제가 형식상으로만 존재한다.
    • 미국의 분권화는 신속한 대응과 자율성을 보장하지만, 한국은 산림청 주도의 수직적 지휘체계를 따른다.
    • 미국은 상시 협력 거버넌스를 갖추고 있으나 한국은 상시기관이 부재하다.
  3. 한국의 재난 대응 프레임워크는 4단계인 반면, 미국은 완화를 포함한 5단계로 장기적 피해저감을 통해 회복력을 강화한다.
  4. 미국은 장기적인 회복까지 민간 참여를 제도화한 점에서 한국과 차이가 있다.
  5. 양국은 산불 대응 예산 배분 구조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6. 산불을 한국은 사회재난으로, 미국은 복합재난으로 분류한다.
후원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