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미션

행동방식

보고서

사람들

앰버서더

인재채용

연락처

자주 하는 질문

재정보고서

  • 한국에는 없는 착한 참치

    6월 10일, 그린피스는 참치캔 지속가능성 보고서 '한국에는 없는 착한 참치'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국내 참치캔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고, 구매 행동의 바탕이 되는 정보를 자세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Greenpeace
  • 남획의 나비효과로 파괴된 바다

    오늘 한국에서 나비가 한 날개짓 때문에 다음 달 세네갈에 폭풍우가 몰아칠 수 있다. 작은 변화가 커다란 변화를 유발시키는 현상을 일컫는 ‘나비효과’입니다. 작은 변화의 여파도 이러한데 현재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국제사회의 규범에 맞는 해양 및 원양수산 정책의 개혁 방향

    그린피스는 5월 10일 관련 부처 관계자 및 국회의원들과 함께 정책 워크숍을 진행했고, '국제사회의 규범에 맞는 해양 및 원양수산 정책의 개혁 방향' 자료집을 준비했습니다. 그린피스는 자료집을 통해 국내 원양어선들의 불법어업을 근절하고,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Greenpeace
  • 한국 원양어업 불법어업(IUU) 실태 보고서

    한국은 전 세계 359척의 원양 어선을 보유하고 있는 원양 강대국입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원양 업계는 여러 심각한 문제들을 일으켰습니다. 남극해에서 이빨고기(메로)를 남획하고, 아프리카 수역 내에서 불법어업을 저지르고 공문서를 위조했습니다. 또한, 태평양 및 뉴질랜드 수역 내에서는 인권 침해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Greenpeace
  • 당신이 알아야 할, 후쿠시마 사고에 대한 네가지 사실

    지난 2011년 3월 11일에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전세계에 공포를 안겨줬습니다. 초기의 몇몇 발표는 방사능 물질이 바람에 따라 미국과 캐나다 서해안까지도 갈 수 있다고 경고했고,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일본에서 철수했습니다. 원자로를 냉각시키기 위해 일본군은 헬리콥터에서 몇 톤에 이르는 해수를 붓는 등의 노력을 들였습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원자력안전위원회: 국민의 안전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인가?

    그린피스는 원안위에 대한 인수위의 결정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원안위 내 문제점의 원인을 찾고자 ‘원자력안전위원회: 국민의 안전을 위한 기관인가?’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원안위는 미국, 프랑스 등의 규제기관에 비해 독립성 및 투명성이 크게 떨어집니다. 그린피스는 보고서를 통해, 원안위의 위치와 역할을 재점검하고 이상적인 원자력안전규제기관의 모델을 제시합니다.

    Greenpeace
  • 정부, 과학포경 계획서 제출 포기

    12월 4일은 야생동물 보전의 날입니다. 마침 좋은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린피스 국제본부 존 프리젤 (John Frizell) 해양 캠페이너가 영국 캠브리지에 위치한 국제포경위원회(IWC) 사무국에 확인한 결과, 한국이 과학적 연구를 위한 포경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소식입니다.

    한정희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해양 캠페이너
  • 협상 테이블 위에 던져진 남극 바다의 운명

    지금 호주에서는 남극해의 해양생물과 수산자원을 관리하는 국제회의 남극해양생물자원보전위원회(CCAMLR) 연례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회의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어업이 금지되는 해양보호구역 네트워크 지정에 대해 열띤 토론이 오가고 있습니다. 이는 그동안 그린피스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남극해 보호를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 한국 정부 대표단에 전달하다

    남극해의 해양생물자원을 관할하는 남극해양생물자원보전위원회(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CCAMLR) 회의가 드디어 오늘(2012년 10월 22일) 호주에서 열립니다. 그린피스는 지난 7월부터 온라인 서명페이지는 물론 다수의 거리 캠페인을 통해 남극 로스해의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지지하는 서명운동을 벌였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모인 총 3,477명의 서명을 지난 19일 CCAMLR 한국 대표단을 이끌 외교통상부 국제법규과에 전달했습니다.

    Greenpeace
  • 사라지는 고래: 한국의 불편한 진실

    그린피스는 '사라지는 고래: 한국의 불편한 진실'이라는 보고서를 출간하며 국제포경위원회 회원국인 한국 정부에 혼획으로 희생되는 고래의 수를 최소화 할 것을 촉구합니다. 보고서는 한국정부의 미온한 규제로 인해 위협받고 있는 한국 연근해 고래의 현실을 고발하며 향후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정부는 적절한 관리 감독의 부재로 야기된 무분별한 남획과 혼획으로부터 해양생태계를 보호해야 할 것입니다.

    Greenpeace
후원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