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포그래픽] 스마트폰 생애의 글로벌 패턴
일상에 깊숙이 스며든 스마트폰.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사라질까요? 인포그래픽과 함께 스마트폰의 생애를 탐구해봅시다.
-
그 많은 스마트폰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을까?
일상에 깊숙이 스며든 스마트폰은 2020년이 되면 사하라부터 툰드라까지 전 세계 성인인구의 80% 이상이 사용하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전자기기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스마트폰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
갤럭시 노트7 처리에 관한 그린피스의 장/단기 제안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7 처리 관련 그린피스가 2016년 11월 16일과 18일에 발송한 공식 서한 내용입니다.
-
혁신을 위한 선순환
매년 수십종의 새로운 모델들이 끊임없이 출시되지만 정작 어떻게 폐기되는지는 알 수 없는 스마트폰들. 문제는 없을까요? ‘순환경제'는 IT기업들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합니다. 그린피스는 IT 기기의 생산에서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원 문제 및 환경 영향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담은 보고서 <혁신을 위한 선순환 : IT산업과 순환경제> 를 발표합니다.
-
선한 의지와 열정으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그린피스 거리모금가
그린피스의 거리모금가들은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까요? 또 어떤 사람들이 모여 활동하고 있을까요? 한국국제협력단 KOICA 홈페이지에 게재된, 그린피스 거리모금팀 지혜인 코디네이터의 인터뷰를 통해 거리모금가들의 활동을 소개합니다.
-
파리 협정은 발효되는데 한국은 아직도 ‘석탄 앓이’ 중
인류 공동의 과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파리협정이 11월 4일 공식 발효됩니다. 세계 각국은 석탄과 결별하고 재생가능에너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런 변화에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