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미션

행동방식

보고서

사람들

앰버서더

인재채용

연락처

자주 하는 질문

재정보고서

  • 삼림관리협회와 FSC 인증

    생태학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삼림 관리는 전 세계적으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삼림 관리는 매우 적은 양의 나무만 사용하고, 동식물의 삶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산림 생태계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방법을 찾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삼림관리협회와 FSC 인증이 있습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물다양성협약

    기후변화협약(UNFCCC), 사막화방지협약(UNCCD)과 함께 세계 3대 환경 협약으로 꼽히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가 강원도 평창에서 열렸습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바다 생태계와 우리의 미래를 파괴하고 있는 불법어업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마구잡이 불법어업으로 인해 바다는 점점 더 파괴되고 텅 비어가고 있습니다. 불법어업 활동은, 연약한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고 해양 생물들을 닥치는 대로 잡아들여 멸종위기를 초래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김나희 그린피스 서울 사무소 해양 캠페이너
  • 북극 보호를 위한 레고의 멋진 결정

    기쁜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지난 7월부터 시작한 ‘레고 캠페인’을 진행한 결과, 레고가 북극을 파괴하는 쉘(Shell)과 더 이상 파트너십을 유지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 세계 1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동참한 ‘레고 캠페인’은…

    이안 더프(Ian Duff) / 그린피스 북극 캠페이너
  • 북극을 보호해야 하는 5가지 이유

    세계적인 과학자들이 작성한 이 [보고서]는 북극의 ‘생태학적인 또는 생물학적인 중요성’에 대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론을 요약하자면, 그들은 북극이 굉장한 곳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습니다! 이제 북극을 보호해야 할 당위성은 보다 강력하고 명확합니다.…

    소피 알래인(Sophie Allain) 극지방 캠페이너
  • Impact Report (2014년 가을)

    지구를 살리기 위해 그린피스가 이 길을 걸어온 지도 벌써 43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그린피스는 많은 변화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는 모두 3백만 명이 넘는 그린피스 후원자 분의 도움으로 이뤄 낸 것입니다. 여러분은 저희에게 너무나도 소중합니다. 자원봉사와 액션 참여뿐 아니라 후원을 통해 그린피스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재정을 확보하도록 큰 도움을 주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으로 인해 그린피스는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Greenpeace
  • 레고의 모든 것이 멋지지는 않습니다

    그린피스는 최근 전 세계가 사랑하는 완구회사 레고에 쉘과의 관계 청산을 요구하는 영상을 유튜브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이 영상은 레고 블록으로 만들어진 북극을 배경으로, 아름다운 천혜의 환경이 기름유출로 파괴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실제로…

    사라 아이쉬 (Sara Ayech) 그린피스 영국 사무소 북극 캠페이너
  • 쉘과 레고의 은밀한 관계

    레고는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10대 기업 중 하나입니다. 우수한 품질의 레고 블록 장난감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등 환경적으로 모범적인 기업이지요. 그런데 이렇게 바람직해 보이는 기업이 북극에서 원유를 시추하는 석유기업 쉘(Shell)과 파트너 관계인 사실을 아시나요?

    그린피스 서울 사무소
  • 제자리를 찾은 아디다스

    2014년 FIFA 월드컵을 하루 앞두고 전 세계가 월드컵 열기에 휩싸여 있는 가운데 모두가 축하해야 할 일이 하나 생겼습니다. 아디다스가 월드컵 경기장에서 독성 물질을 몰아내기 위한 큰 걸음을 내디딘 것입니다. 이로써…

    커스틴 브로디(Dr. Kirsten Brodde) 디톡스 캠페이너 그린피스 멕시코 사무소
  • 불법어업 근절 정책 제안 보고서

    그린피스는 2014년 6월 9일, 원양수산 정책의 전면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여 해양수산부에 전달했습니다. 이는 유럽연합의 불법어업국 지정 위기에 처한 한국정부에 현 법령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입니다. 불법어업에 대한 책임을 수익적 소유자가 질 수 있도록 징벌을 강화하고 명확한 조사 체계를 수립하는 등의 내용이 개혁안에 담겨 있습니다.

    Greenpeace
후원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