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원전·에너지 전환, 시민들과 함께 한 걸음씩 나아가겠습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 결정에도 불구하고, 탈원전·에너지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입니다. 이번 공론화과정을 통해 단계적 탈원전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가 확인됐습니다. 이제 우리는 더 안전하고 풍요로운 사회를 향한 발걸음을 내딛어야 합니다.
-
세계는 석탄에서 벗어나는 중
그린피스와 비영리 환경 연구단체 콜스웜(CoalSwarm)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7년 사이에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했거나 건설 계획 중이던 1,675개 기업 가운데 4분의 1 이상이 석탄발전 사업을 철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전량으로 따지면 대형 석탄화력발전소 370개 규모로 영국 전체 전력소비량의 6배, 대한민국 전력소비량의 4배에 해당합니다. 폐쇄되거나 건설이 중단된 석탄화력발전소의 자산 가치는 5,000억 달러에 달합니다.[1]
-
글로벌 전환: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신규 석탄발전 계획을 축소하는 국가, 지역들
지금, 세계는 석탄에서 벗어나는 중입니다. 탈석탄 정책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재생가능에너지가 저렴해졌기 때문입니다. 전세계 탈석탄 동향을 그린피스와 콜스웜이 공동 조사, 분석했습니다.
-
삼성, 애플, 화웨이, 이중 가장 친환경적인 IT기업은?
이 글을 읽기 위해 지금 여러분이 눈 앞에 펼쳐놓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아시나요?
-
2017 친환경 전자제품 구매 가이드
스마트폰과 PC 등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우리의 일상을 놀랍도록 변화시켜 왔다는 건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더 나은 세상을 위해 ‘혁신'을 모토로 들고 나온 이 IT기업들은 지구를 위해서도 그 기술력을 뽐내고 있을까요? 그린피스는 세계 ‘최고'를 외치는 글로벌 IT기업들 17곳의 친환경 점수를 분석했습니다. 에너지, 자원, 화학물질 분야에서는 과연 얼마나 글로벌 기업답게 행동하고 있을까요? 더 친환경적인 브랜드의…
-
4차 산업혁명의 엔진은 어떤 에너지로 돌아가나?
ICT 강국 한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원전 찬성론자들은 원전이야말로 4차 산업혁명의 전제라고 주장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
지금은 재생가능에너지 시대 (시민편)
에너지 전환, 나에게는 어떤 의미일까요? 에너지 전환은 비단 에너지원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먹고 자고 입고 생활하는 일상과 경제 활동 모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에너지'입니다. 그런데 이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 자체를 바꾸자는 것이 바로 ‘에너지 전환'입니다. 그러니까 사실, ‘에너지 전환'은 우리 삶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우리 사회 전체 시스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