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미션

행동방식

보고서

사람들

앰버서더

인재채용

연락처

자주 하는 질문

재정보고서

  • [보도] 보호지역 안에 경제림 육성단지 있다? "백두대간도 벌채됐다"

    생태계 보존 위해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에서 합법적으로 벌채 자행돼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선도 산림경영단지 숲 가꾸기 시범 사업 입지’ 개발 보호지역 관련 법안 미비…현행법상 ‘보호지역’ 법적 개념도 모호해   (2024년 6월 4일)  대한민국 전체 보호지역 중 7만 4,947ha(헥타르)가 경제림 육성단지와 중첩되어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시 전체 면적의  1.2배 면적과 맞먹는 규모다. 보호지역은 세계 보호지역 데이터베이스(WDPA)에 기록된 국내…

    그린피스
  • [보고서] 보호받지 못한 보호지역 : 보호지역 관리 실태 보고서

    보고서 다운받기 : 보호받지 못한 보호지역 : 보호지역 관리 실태 보고서 서론 생물다양성 협약 한국의 보호지역 한국의 산림정책 본론 그린피스 조사 보고 경제림 육성단지로 지정된 보호지역 현장조사 – “시범사업”으로 파괴된 백두대간 민주지산 문제점 1 – 지속되는 숲 감소 문제점 2 – 지속가능하지 않은 산림관리 법률자문 (박종원 부경대학교 법학과 교수 기고) 제언 보호지역 개발 멈추어야 한국정부,…

    그린피스
  • [보도자료] 그린피스, 세계 해양의 날 맞아 어린이들과 초대형 바다 보호 퍼즐…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으로 바다를 지켜주세요"

    유엔 총회서 글로벌 해양조약 각국 서명과 비준 시작…미국 포함 주요 국가 서명 의지 밝혀 그린피스 “서명은 상징적인 의미…글로벌 해양조약 발효되려면 비준 필수” (2023년 9월 20일) 글로벌 해양조약이 9월 20일 유엔…

    그린피스
  • 국제 플라스틱 협약 회의 방문 후기: 결과와 앞으로의 계획

    안녕하세요, 그린피스에서 플라스틱 캠페인을 담당하고 있는 김나라입니다. 지난 4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제 4차 국제 플라스틱 협약 협상 회의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의 결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2024년 4월, 오타와에서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네번째 정부간 협상 위원회(INC4: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회의가 열렸습니다. 혹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생소하신가요? 이 협약은 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을 인지한 UN의…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김나라 캠페이너
  • 앞으로 우리의 일상이 될 기후재난, 어떻게 이겨낼까요?

    ‘기후 재난’에 대해 혹시 들어보신 적 있나요? 기후재난은 홍수, 폭염, 폭우, 태풍 등의 자연재난이 기후위기 때문에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자주, 강하게 벌어져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것입니다. 열흘 동안 꺼지지 않고 축구장 3만 5,000여 개 크기의 숲을 불태웠던 울진 산불이나 수십 명의 인명피해를 낸 작년 집중 호우를 기억하시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호주의 초대형 산불이나 수십 명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플라스틱 오염의 잘못된 해결 방법 4가지

    전 세계가 플라스틱 오염 위기로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이 위기 속에서 대형 브랜드 기업과 화석연료 및 석유화학 기업들은 플라스틱 오염 위기를 잘못된 해결책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기업이 말하는 네가지의 ‘가짜 해결책’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메흐디 레만 /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의 콘텐츠 에디터
  • 이상기후와 기후위기에 대한 올바른 상식 5가지

    기후 재난, 극한이상기후는 눈에 띄게 흔해지고 있습니다. 이상기후에 대한 정보 또한 더 많이 알게 되고 있죠. 하지만 모든 것이 꼭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비록 대부분의 과학자와 많은 뉴스에서 많은 정보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플라스틱, 줄이는게 답인 5가지 이유

    플라스틱 오염은 크고 광범위한 문제이지만 우리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행동한다면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있습니다. 재활용, 재사용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플라스틱의 사용 자체를 줄여나가는 노력입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제주 한국국제학교 넷제로 클럽의 지구를 위한 특별한 패션쇼

    Q. 안녕하세요. 제주 한국국제학교의 넷제로 동아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고, 평소에는 어떤 활동을 하나요? 박서아: 사회평등부터 기후 위기와 같이 다양한 사회이슈를 흔하게 접하면서도 환경 문제는 관계자들과 정부가 알아서 할 일이라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관심 있는 패션 분야가 심각한 양의 탄소를 배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더 구체적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고 함께 알아보기 위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 바닷속 특별한 지느러미

    에콰도르 샌프란시스코드퀴토 대학의 해양생물학 교수이며, 갈라파고스 고래상어 보호 및 미그라마르의 공동 창립자인 알렉스 헌의 글입니다. 해양 생물학자로서 겪은 아주 특별한 경험 중 하나는 2003년 갈라파고스 제도 울프아일랜드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당시 우리는 바닷가재를 추적하고 있었습니다. 작업은 밤에 진행됐기 때문에, 나는 점심을 먹고 낮잠을 자곤 했어요. 하루는 잠옷을 입고 잠들어 있는데 누군가 내게 달려와 배 아래 고래상어가…

    상어과학자 알렉스 헌(Alex Hearn)
후원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