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 이재명 정부의 탈플라스틱, 생산감축부터 시작이다
플라스틱 협약 최종 협상 D-20, ‘플뿌리연대’ 대통령실 앞에서 정부에 강력한 협약 촉구 생산 감축 없는 협약은 ‘알맹이 없는 빈 껍데기일 뿐’ 플뿌리연대가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맞은편에서 플라스틱 생산감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플뿌리연대 국제 플라스틱 협약 최종 협상이 2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외 1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플뿌리연대’는 오늘 오전 용산 대통령 집무실…
-
[보도] 시민 3000명과 함께 만든 해양 다큐, <씨그널> 전국 극장 개봉
전 세계 7곳의 바다, 7명의 목격자가 전하는 바다의 위기 스페인 해양소음 연구자, 한국 제주 해녀, 멕시코 어민 등 출연 해양 파괴의 심각성을 조명하고 공해 보호를 촉구하는 다큐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빠른 속도로 황폐화되고 있는 바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씨그널 : 바다의 마지막 신호>가 7월 16일 전국 극장에서 개봉한다. <씨그널: 바다의 마지막 신호>은 바다(Sea)가 전하는 마지막…
-
[보도] “환경영향평가 없이 허가된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LNG 발전사업”...시민·그린피스, 정부 상대로 소송 제기
환경영향평가 없는 ‘선 허가, 후 평가’ 관행에 제동… “절차적 정의 무시한 행정” 용인 주민 등 시민 소송인단 450명 소송 참여… “기후위기 역행하는 정책 바로잡아야” 서울행정법원 앞 기자회견 및 퍼포먼스로 위법성 고발 및 지속가능한 재생 에너지 전환 요구 그린피스, “반도체 국가산단 내 LNG 발전소 건설은 새정부의 RE100 산단 기조에 역행” (2025년 7월 16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경기환경운동연합,…
-
용인 LNG 발전소 허가 취소 소송에 450명의 시민들이 나선 이유
용인 LNG 발전사업 허가 취소 소송, 그 현장 이야기 2025년 7월 16일, 서울행정법원 앞은 평소와는 다른 열기로 가득 찼습니다. 바로 시민들이 함께 힘을 모아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LNG 발전사업 허가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날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날 현장에서는 소장 제출과 함께 기자회견과 퍼포먼스가 진행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액션사진삽입 우리는 왜 모였을까요? 한국은 2023년 기준,…
-
[보도] 노벨상 석학과 각계 전문가…“지금이 한국 AI-재생에너지 정책 혁신의 골든타임”
그린피스와 에너지전환포럼, 국회기후위기탈탄소경제포럼과 함께 <AI 혁신과 에너지전환> 토론회 개최 노벨경제학상 대런 애쓰모글루 MIT 교수, ‘AI 미래 설계와 에너지 구조 혁신에서 한국의 리더십 강조’ 존스홉킨스 연구소, “재생에너지 없인 반도체 경쟁력 유지 불가능 경고”…정책 대전환 촉구 (2025년 6월 18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에너지전환포럼은 6월 18일 김성환 의원실, 국회기후위기탈탄소경제포럼과 공동으로 ‘AI 혁신 성장을 위한 에너지 정책 방향’을 주제로…
-
[성명서] UNOC3 폐막 “글로벌 해양조약, 발효 카운트다운”
UNOC 기간에 20개국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 총 50개국과 EU 비준 완료 4차 UNOC 유치 선언한 한국, 공해 보호구역 확대·심해채굴 일시유예 지지해야 미국 심해채굴, 구체적인 제재 없이 마무리 된 점 아쉬워 (2025년 6월 15일) 제3차 유엔 해양총회(UNOC3)가 지난 13일(프랑스 현지 시간) 막을 내렸다. 이번 해양총회의 가장 큰 성과는 ‘글로벌 해양조약’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에 따른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
[보도]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LNG 6기 발전 허가… ‘기후 목표·주민 건강·법적 정당성 모두 외면’
그린피스 및 지역 시민사회단체, 공동 설명회 진행 산단 가동시 연간 3천만 톤 온실가스 추가 배출, 한강 유역 용수 고갈 등 지역 환경 리스크 심각 “환경영향평가·기후변화영향평가 미완료, 동일지역 허가기준 위반” 등 법적 쟁점 다수 그린피스 ‘새로고침 시민 네트워크’ 모집과 함께 전국 단위 시민 활동 본격화 (2025년 6월 15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경기환경운동연합·용인 반도체국가산단 재검토 요구 모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