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인, 보조금 없는 태양광발전 시대 열다
“태양에너지는 청정하고, 지역 분산적이며 노동집약적인 에너지로써 신속한 보급과 설치, 유지가 용이하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태양에너지 보급에 힘쓰는 사람들이 지난 수년 동안 안고 온 주지의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는 오염을 야기하는 저비용의…
-
'황금쌀'이 무시하고 있는 것, 국민 그리고 진정한 해법
유전자 변형(GM) 옹호론자들은 ‘황금쌀(Golden rice)’이 영양결핍의 해결책이라 홍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술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는 ‘해당 국민’이어야 합니다. 참고로 필리핀 국민들은 전혀 수용할 생각이 없습니다. 영국 환경부 장관 등…
-
에너지[혁명]1.1 재생가능에너지 현실화, 기로에 선 한국
2012년 '에너지[혁명] 보고서'가 한국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면 2013년 1.1버전 <재생가능에너지 현실화, 기로에 선 한국>은 세계적 흐름에 맞는 한국의 결단을 요구합니다. 재생가능에너지로 향하는 세계의 물결에 한국은 어디쯤에 있을까요?
-
한국 원양산업 지원실태와 개선방안
국내 원양업계는 수년 간 고착화된 불법어업(IUU)과 외국인 선원 인권 유린 등 숨겨진 치부가 밝혀지면서, 국내외에 큰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미국이 올해 1월 우리나라를 ‘불법어업 국가’로 지정했고, 유럽 연합(EU)도 철저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양 수산 분야에 대한 정부의 정책 보조금을 면밀히 들여다 볼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
동원의 약진 뒤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그린피스는 참치 공급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어업 회사에 대한 투자 리스크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를 돕고자, 동원산업 사례와 함께 동원의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기준을 중심으로 한 태평양 참치어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
방사능 방재계획 2013: 한국은 준비되지 않았다
후쿠시마 사고를 바로 옆에서 목격했음에도 사고 전 국제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한국의 방재계획은 개선이 시급합니다. 방사능 방재계획은 최악의 상황에서 실효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린피스는 국제기준에 맞게 더욱 강화된 원전안전기준과 현실적인 방재대책을 위해 현 방재계획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점을 제시합니다.
-
한국에는 없는 착한 참치
6월 10일, 그린피스는 참치캔 지속가능성 보고서 '한국에는 없는 착한 참치'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국내 참치캔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고, 구매 행동의 바탕이 되는 정보를 자세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국제사회의 규범에 맞는 해양 및 원양수산 정책의 개혁 방향
그린피스는 5월 10일 관련 부처 관계자 및 국회의원들과 함께 정책 워크숍을 진행했고, '국제사회의 규범에 맞는 해양 및 원양수산 정책의 개혁 방향' 자료집을 준비했습니다. 그린피스는 자료집을 통해 국내 원양어선들의 불법어업을 근절하고,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
한국 원양어업 불법어업(IUU) 실태 보고서
한국은 전 세계 359척의 원양 어선을 보유하고 있는 원양 강대국입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원양 업계는 여러 심각한 문제들을 일으켰습니다. 남극해에서 이빨고기(메로)를 남획하고, 아프리카 수역 내에서 불법어업을 저지르고 공문서를 위조했습니다. 또한, 태평양 및 뉴질랜드 수역 내에서는 인권 침해 문제도 발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