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국회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의, 기업 ESG공시 법제화로 기후위기 막아야
그린피스 등 시민단체,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과 자본시장법 개정 위한 기자회견 김성주 의원, ‘기후공시 법제화 늦어질수록 기업 글로벌 경쟁력 약화될 수 밖에 없어’ 헌법재판소의 기후공시 헌법소원 각하 결정…그린피스, 헌재의 후진적 기후…
-
월성원전 단지 최대 7.0 규모 강진 위험 크다… 비내진 앵커볼트, 강진 시 원전사고 무방비
손문 부산대 교수, “최대 규모 6.5-7의 대지진 촉발할 수 있는 활성단층, 월성원전 단지 반경 32km 내에만 최대 7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이희택 박사, “강진 발생 시 부적합 앵커볼트가 원자로 정지할 안전 관련…
-
불평등을 넘어 안전하고 편안한 이동이 필요한 이유
12월 10일은 세계 인권의 날입니다.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선 의식주 외에도 보장받아야 할 권리 중 하나가 이동권 입니다.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 모두 누리고 계신가요? 우리가 어디로 갈지 무엇이 결정하나요? 편리하고…
-
[크리스마스 이벤트] 멸종위기 해양동물 5종 배경화면 다운로드
Merry Christmas! & Protect the Oceans! 그린피스 해양보호 캠페인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멸종위기에 처한 바다동물 5종의 배경화면을 다운받아가세요! 모바일 버전 펭귄 배경화면 다운로드 고래 배경화면 다운로드 물범…
-
300시간 동안 심해 채굴에 반대하며 바다 위에 있었던 이유
심해는 굉장히 넓고 방대해서 아직 인간에게도 미지의 영역이라고 불립니다. 해저 생태계가 파괴될 위험에 처했고, 그린피스는 300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바다 위에서 심해채굴선에 맞섰습니다. 심해채굴, 왜 문제일까요? 바다는 신비롭습니다. 거북이와 물고기가 헤엄치는…
-
기후공시 의무화 헌법소원이 각하된 이유
ESG공시 의무화는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첫 걸음입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167명의 시민과 함께한 기후공시 의무화 헌법소원에 대해 ‘각하’ 결정을 내렸습니다.
-
[성명서] 노후원전 부적합 앵커볼트는 원자력안전법 위반, 수명연장 심사가 아닌 폐로 계획 필요하다
오늘 30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4.0 지진 진앙지 월성원전과 겨우 10km 거리에 위치 지진 발생 시 비내진 앵커볼트로 격납건물 균열, 방사능 누출 원전 사고로 직결돼 (2023년 11월 30일) 더불어민주당 김성환…